사람은 다양한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다.
사람도 그러하지만, 동물도 감각기관으로 주변의 변화를 감지하고 다양한 자극을 느낀다.
거칠고 힘든 야생에 사는 동물들은 감각기관에 절대적으로 의지하여 살아간다.
사람도 그러하지만, 동물도 감각기관으로 주변의 변화를 감지하고 다양한 자극을 느낀다.
거칠고 힘든 야생에 사는 동물들은 감각기관에 절대적으로 의지하여 살아간다.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와 유아용 만화영화 <뽀롱뽀롱 뽀로로>에 나오는 여우의 캐릭터인 사막여우는
작은 체구에 큰 귀를 가지고 있다.
체구가 작으면 열을 식힐 몸의 표면적이 줄어들어 몸 안에 열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는데,
피부가 연하고 혈관이 노출된 큰 귀가 주로 열을 발산하는 역할을 하여 더운 사막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
코끼리의 귀도 그렇고, 당나귀나 말의 귀도 그런 역할을 한다. 귀가 크면 체온도 빨리 식히고, 소리도 잘 들을 수 있다.
코끼리의 귀도 그렇고, 당나귀나 말의 귀도 그런 역할을 한다. 귀가 크면 체온도 빨리 식히고, 소리도 잘 들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추운 북극에 사는 북극여우의 귀는 짧고 둥근데, 북극여우의 귀가 사막여우의 귀처럼 그렇게 크다면,
넓은 귀에 고드름이 달려 살 수가 없을 것이다.
평생 거꾸로 매달려 사는 박쥐는 시각이 약하고 어둠 속에서 활동하다 보니 초음파가 발달했다.
초음파는 입과 코로 쏘고 귀로 받아들이는데, 사물은 그냥 형체 정도만 알아본다.
그 정도의 초음파만으로도 박쥐는 작은 벌레들을 잡아먹고, 자기보다 큰 물체를 피하는데 충분하다.
초음파를 사용하는 동물들은 의외로 많은데, 고양이와 쥐도 사용한다.
고양이는 진동수가 6만 번이나 되는 초음파를 들을 수 있고, 그보다 더 높은 설치류의 초음파를 듣고 쥐를 잡을 수 있다.
깊고 어두운 바다에 사는 고래의 초음파는 어찌나 강한지, 물고기 부레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기절시킨 뒤, 잡아먹을 정도이다.
깊고 어두운 바다에 사는 고래의 초음파는 어찌나 강한지, 물고기 부레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기절시킨 뒤, 잡아먹을 정도이다.
초음파는 공기보다 물속에서 더 빨리 퍼져, 대왕고래의 초음파는 수천km까지 뻗어 나간다.
어둡고, 깊어도, 다 먹고 살 수 있는 감각들이 있어 굶어 죽지 않으니,
어둡고, 깊어도, 다 먹고 살 수 있는 감각들이 있어 굶어 죽지 않으니,
만물을 창조한 하나님의 창조능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느리고 굼뜬 사람의 대명사인 나무늘보는 마음씨 좋은 옆집 대머리 아저씨 같다.
나무늘보는 너무 게을러서 몸에 이끼가 다 핀다고 하는데, 나무늘보에게도 변명은 있다.
게을러서라기보다 털과 몸에 나쁘지 않은 세균이나 곰팡이를 일부러 키우는데,
나무늘보는 너무 게을러서 몸에 이끼가 다 핀다고 하는데, 나무늘보에게도 변명은 있다.
게을러서라기보다 털과 몸에 나쁘지 않은 세균이나 곰팡이를 일부러 키우는데,
이것들이 원래 회색인 털을 녹색으로 염색해서 천적에게 잘 보이지 않게 도움을 준다.
천적은 아마존 나무 꼭대기에 사는 큰 하피독수리와 재규어인데, 일단 그들에게 발견되지 않는 게 최선이다.
그래서인지 나무늘보는 숨조차도 아주 느리게 쉰다.
나무늘보가 계속 움직일 경우 1분에 1~2m 정도 이동하고, 나무 위에서는 4m 정도 움직이는데,
그래서인지 나무늘보는 숨조차도 아주 느리게 쉰다.
나무늘보가 계속 움직일 경우 1분에 1~2m 정도 이동하고, 나무 위에서는 4m 정도 움직이는데,
1분당 1cm 정도 가는 달팽이에 비하면, 엄청난 속도이다.
나무늘보가 달팽이를 만난다면 나처럼 빨리 움직이라고 큰소리쳐도 될 것이다.
작아도, 커도, 느려도, 빨라도 다들 각자의 감각을 가지고 개성대로 살아간다.
자연 만물도 그러한데 우리도 각자의 감각을 잘 발달시켜 자신만의 개성체로 만든다면, 한층 멋진 나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자연 만물도 그러한데 우리도 각자의 감각을 잘 발달시켜 자신만의 개성체로 만든다면, 한층 멋진 나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댓글 없음 :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